1. 자료형
# 주석 :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내용을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
# 내용의 맨 앞에 #을 적으면 그 뒤로는 모두 주석 처리가 실행됨
# 주석 단축기 : ctrl + / (한줄 주석, 여러줄 주석이 가능)
# 자료형 :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이 어떤 형식인지 설명
# 파이썬은 자료형을 따로 설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됨
# int : 정수 데이터 (13)
# float : 실수 데이터 (13.1)
# 8진수 데이터 작성 방식 : 0o177 = 127
# 16진수 데이터 작성 방식 : 0x177 = 375 (0~9 a~f)
a = 5
b = 10
print(a//b)
print(type(a))
# 거듭제곱 : ** 연산자
print(5**3)
# 나머지 : % 연산자
print(10%3)
# 소수점을 제외한 몫 : // 연산자
print(10/3)
print(10//3)
#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연습문제
'''
# Q1. 가로와 세로의 면적을 구하시오
width = 10
height = 5
print("면적 :", width * height)
# int(데이터) : int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함수
# input('설명 문구') : 터미널창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문자열로 반환하는 함수
width = int(input('가로 길이를 입력하시오> '))
height = int(input('세로 길이를 입력하시오> '))
print("사각형의 넓이 :", width * height)
print("삼각형의 넓이 :", width*height/2)
PS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 & C:/Users/admin/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7-32/python.exe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자료형.py
0
<class 'int'>
125
1
3.3333333333333335
3
면적 : 50
가로 길이를 입력하시오> 5
세로 길이를 입력하시오> 10
사각형의 넓이 : 50
삼각형의 넓이 : 25.0
2. 문자열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 : 여러개의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
# 문자열 생성 방법
# '', "" :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감싸서 문자열을 생성
a = '"문자열" 입니다'
print(a)
# \ : 역슬래시를 이용하면 작은따옴표 안에 작은따옴표를 중복해서 사용 가능
a = '\'역슬래시\' 사용하기'
print(a)
# 이스케이프 문자 : 여러 가지 기능이 존재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 \' : 작은 따옴표를 파이썬 명령어가 아닌 일반 문자열로 사용하는 방법
# \" : 큰 따옴표를 파이썬 명령어가 아닌 일반 문자열로 사용하는 방법
# \\ : 역슬래시를 파이썬 명령어가 아닌 일반 문자열로 사용하는 방법
# \n : 줄바꿈을 문자로 표현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 \t : 탭키를 문자로 표현하는 이스케이프 문자
자기소개 = '안녕하세요 저는 홍길동입니다.\n오늘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이고 \n날씨는 맑습니다.\n'
print(자기소개)
# 여러줄을 저장하는 문자열 저장 방식
# '''저장할 문자열''', """저장할 문자열"""
자기소개 = '''안녕하세요 저는 홍길동입니다.
오늘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이고
날씨는 맑습니다.
'''
print(자기소개)
# 문자열 더하기
ab = 'a' + 'b'
print(ab)
head = 'Python'
tail = 'is fun!'
result = head + tail
print(head+tail)
print(result)
# 문자열 곱하기
print("="*50)
print(result*3)
print("="*50+'\n')
# Q2
자기소개 = '''\n오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 입니다.
오전에는 맑으며 오후에는 비가 올 예정입니다.
'''
print("="*50+ "\n일기예보\n" + "="*50 + 자기소개)
# 문자열 길이 구하기
text = "Python is fun!"
print(len(text))
text = "파이썬은 즐겁습니다."
print(len(text))
PS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 & C:/Users/admin/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7-32/python.exe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문자열 자료형.py"
"문자열" 입니다
'역슬래시'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홍길동입니다.
오늘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이고
날씨는 맑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홍길동입니다.
오늘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이고
날씨는 맑습니다.
ab
Pythonis fun!
Pythonis fun!
==================================================
Pythonis fun!Pythonis fun!Pythonis fun!
==================================================
==================================================
일기예보
==================================================
오늘 날짜는 2024년 12월 30일 입니다.
오전에는 맑으며 오후에는 비가 올 예정입니다.
14
11
3.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 문자열 인덱싱 : 문자열의 글자 하나를 반환하는 기능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print(a[3])
주민등록번호 = "001230-1234567"
print(주민등록번호[7])
# 뒤에서부터 숫자를 카운트하는 방식
print(주민등록번호[-7])
# 문자열 슬라이싱 : [0:4]까지의 문자열을 잘라내여 반환하는 방식
print(a[0]+a[1]+a[2]+a[3])
print(a[0:4])
print(a[5:7])
연도 = 주민등록번호[:2] # 0번 부터 시작한다면 생략 가능
월 = 주민등록번호[2:4]
일 = 주민등록번호[4:6]
성별 = 주민등록번호[7]
지역번호 = 주민등록번호[8:] # 마지막까지 필요하다면 마지막 번호는 생략 가능
print(연도, 월, 일, 성별, 지역번호)
print(주민등록번호[:])
지역번호 = 주민등록번호[-10:6]
print(지역번호)
PS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 & C:/Users/admin/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7-32/python.exe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문자열 인덱싱과 슬라
이싱.py"
e
1
1
Life
Life
is
00 12 30 1 234567
001230-1234567
30
4. 문자열 포맷팅
# 문자열 포맷팅 : 문자열 안에 변수를 넣을 때 사용하는 방식
년 = 2024
월 = 12
일 = 30
str = "저의 생일은 %d년 %d월 %d일 입니다." % (년, 월, 일)
print(str)
# 자료형 문자열과 숫자는 더하기 연산을 실행할 수 없음
# TypeError: can only concatenate str (not "int") to str 에러발생
# str = "저의 생일은 "+년+"년, "+월+"월, "+일+"일 입니다."
# # print(str)
# 문자열 포맷 코드
# %d : 정수 자료형
# %f : 실수 자료형
# %o : 8진수 자료형
# %x : 16진수 자료형
# %s : 문자열 자료형
# %c : 문자 1개(사용하지 않음)
이름 = "홍길동"
나이 = 20
몸무게 = 70.5
print("이름: %s, 나이: %d, 몸무게: %f" % (이름, 나이, 몸무게))
# 정렬과 공백 결정하기
# %10s : 데이터의 문자열을 10개로 맞추고 부족한 부분은 공백으로 채움
# %-10s : -를 사용할 경우 왼쪽 정렬 실행
print('%10s 입니다.' %이름 )
# 소수점 표현하기
# %0.1f :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 출력
print("%10.2f 입니다." % 몸무게)
# f 문자열 포맷팅 : 파이썬 3.6버전 이후부터 사용 가능
이름 = "홍길동"
나이 = 20
몸무게 = 70.5
str = f"저의 이름은 {이름}이고 나이는 {나이}살 몸무게는 {몸무게} 입니다."
print(str)
print(f'나이는 {나이:0^10} 입니다.') # <: 왼쪽 정렬, >:오른쪽 정렬, ^: 가운데 정렬
print(f'몸무게는 {몸무게:^10.1f} 입니다.')
# {변수: (채울문자)(>,^,<)(글자수).(소수점 수f)}
PS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 & C:/Users/admin/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7-32/python.exe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문자열 포맷팅.py"
저의 생일은 2024년 12월 30일 입니다.
이름: 홍길동, 나이: 20, 몸무게: 70.500000
홍길동 입니다.
70.50 입니다.
저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나이는 20살 몸무게는 70.5 입니다.
나이는 0000200000 입니다.
몸무게는 70.5 입니다.
5. 문자열 관련 함수
# 문자열 관련 함수
# 문자열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 문자열로 만들어진 변수의 뒤에 .을 붙이고 함수를 작성한다.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 count() 함수 : 특정 문자열이 몇 개 존재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print(a.count("t"))
# find() 함수: 특정 문자열의 첫 번째 위치를 반환, 찾지 못했을 경우 -1을 반환
print(a.find("is"))
# index() 함수 : 특정 문자열의 첫 번째 위치를 반환, 찾지 못했을 경우 에러 발생
# ValueError: substring not found
print(a.index("best"))
# join() 함수 : 각 문자 사이에 문자를 추가하는 함수
print(','.join(a))
nameList = ['홍길동', '이순신', '김유신']
print(','.join(nameList ))
# lower() : 대문자를 소문자로 반환
a = 'PyThOn'
print(a.lower())
# upper() : 소문자를 대문자로 반환
print(a.upper())
# 검색 기능 작성시 검색 대상과 검색어를 소문자나 대문자로 통일하여 실행할 것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print(a.find("best"))
a = a.upper()
print(a.find("best".upper()))
# 공백을 지우는 함수 strip(), lstrip(), rstrip()
a = " 홍길동 "
print(f"====={a.strip()}=====")
print(f"====={a.lstrip()}=====")
print(f"====={a.rstrip()}=====")
# replace() 함수 : 특정 문자열을 바꾸어 반환
a = "Python is the Best"
replace_a = a.replace("Python", "한글")
print(replace_a)
a = " 홍 길 동 " # 글자 사이의 공백 없애줄 때 사용
print(f"====={a.replace(' ', '')}=====")
# split() 함수 :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 형식으로 반환
a = "Python is the Best"
aList = a.split(" ")
print(aList)
print(aList[0])
print(aList[1])
print(aList[2])
print(aList[3])
PS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 & C:/Users/admin/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7-32/python.exe "c:/Users/admin/Documents/pythonworkspace/문자열 관련 함수.py"
3 32/python
7
14
P,y,t,h,o,n, ,i,s, ,t,h,e, ,b,e,s,t, ,c,h,o,i,c,e
홍길동,이순신,김유신
python
PYTHON
-1
14
=====홍길동=====
=====홍길동 =====
===== 홍길동=====
한글 is the Best
=====홍길동=====
['Python', 'is', 'the', 'Best']
Python
is
the
Best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for 반복문 (3) | 2025.01.20 |
---|